무역 블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역사
- 3. 유형
- 4. 주요 무역 블록
- 4.1. [[유럽 연합 (EU)]]
- 4.2. [[유럽 자유 무역 연합 (EFTA)]]
- 4.3. [[아프리카 연합 (AU)]]
- 4.4. [[남미 국가 연합 (USAN)]]
- 4.5. [[유라시아 경제 연합 (EEU)]]
- 4.6. [[아랍 연맹 (AL)]]
- 4.7.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ASEAN)]]
- 4.8. [[중앙아메리카 통합 시스템 (CAIS)]]
- 4.9. [[중부유럽 자유무역협정 (CEFTA)]]
- 4.10.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USMCA)]]
- 4.11. [[남아시아 지역 협력 연합 (SAARC)]]
- 4.12. [[태평양 제도 포럼 (PIF)]]
- 4.13. [[카리브 공동체 (CARICOM)]]
- 참조
1. 개요
무역 블록은 국가 간의 교역을 증진하기 위해 형성되는 경제적 동맹이다. 역사적으로 한자동맹과 독일 관세 동맹이 존재했으며, 1960~70년대와 공산주의 붕괴 이후 급증했다. 무역 블록은 자유 무역 지대, 관세 동맹, 공동 시장, 경제 연합, 경제 통화 연합 등으로 분류되며, 1인당 국민총생산 유사성, 지리적 근접성, 유사한 무역 체제, 정치적 의지 등의 특징을 보인다. 무역 블록은 세계 자유 무역을 저해한다는 비판과 지역 자원 활용 기회를 증진한다는 옹호가 공존하며, 유럽 연합, 아프리카 연합, 아세안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역 블록 -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RCEP)은 아세안 10개국과 FTA를 체결한 5개국이 참여하는 다자간 무역 협정으로, 관세 인하, 투자 증대, 역내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을 목표로 하며, 2020년 15개국이 서명하고 2022년부터 순차적으로 발효되었다. - 무역 블록 - 경제 협력 기구
경제협력기구(ECO)는 1985년 이란, 파키스탄, 튀르키예가 설립한 사회·경제 발전 목표의 지역 정부기구로, 1992년 7개국 추가 가입 후 회원국 경제 개발 지원, 역내 무역 증진, 무역 장벽 철폐, 세계 경제 통합 등을 목표로 다양한 분야에서 회원국 간 협력을 증진하고 있다.
무역 블록 | |
---|---|
무역권 정보 | |
유형 | 경제 블록 |
특징 | 국가 간 무역 협정을 통해 참여국 간의 관세 및 기타 무역 장벽을 줄이거나 제거하여 자유 무역 지대 또는 관세 동맹을 형성 |
목적 | 경제적 이익 증진, 정치적 영향력 확대 |
관련 개념 | 보호 무역주의, 자유 무역, 지역 경제 통합 |
역사적 배경 | |
초기 형태 | 19세기 독일 관세 동맹 (Zollverein) |
주요 발전 시기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 통합 과정에서 본격화 |
주요 무역권 | |
유럽 연합 (EU) | 회원국 간 관세 철폐 및 공동 무역 정책 시행 |
북미 자유 무역 협정 (NAFTA) /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USMCA) | 미국, 캐나다, 멕시코 간 무역 장벽 완화 |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ASEAN) | 아세안 자유 무역 지대 (AFTA) 운영 |
메르코수르 (Mercosur) | 남미 국가 간 경제 통합 추진 |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 (RCEP) |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거대 자유 무역 협정 |
무역권의 효과 | |
긍정적 효과 | 무역 증진, 경제 성장, 외국인 투자 유치, 국가 경쟁력 강화 |
부정적 효과 | 무역 전환 효과 (비회원국으로부터의 수입 감소), 산업 구조 조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 주권 침해 논란 |
논쟁점 | |
보호 무역주의 vs 자유 무역 | 무역권이 회원국에게는 혜택을 주지만, 비회원국에게는 차별적인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비판 |
주권 침해 | 무역권 가입으로 인해 개별 국가의 정책 결정 자율성이 제한될 수 있다는 우려 |
불균형 심화 | 무역권 내 국가 간 경제 발전 수준 차이로 인해 불균형이 심화될 수 있다는 지적 |
참고 사항 | |
기타 무역권 |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 (TPP),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 (CPTPP) |
관련 기구 | 세계 무역 기구 (WTO) |
2. 역사
한자 동맹이나 독일 관세 동맹처럼 역사적으로 무역 블록이 존재해왔다. 1960년대와 1970년대, 그리고 공산주의 붕괴 이후인 1990년대에 무역 블록 형성이 급증했다. 1997년까지 세계 무역의 50% 이상이 지역 무역 블록 내에서 이루어졌다.[2]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의 제프리 J. 쇼트는 성공적인 무역 블록 회원국들은 일반적으로 1인당 GNP 수준의 유사성, 지리적 근접성, 유사하거나 호환 가능한 무역 체제, 그리고 지역 기구에 대한 정치적 의지라는 네 가지 공통된 특성을 공유한다고 지적한다.[3]
세계 자유 무역을 지지하는 일부 사람들은 무역 블록이 세계 자유 무역을 희생하면서 지역 자유 무역을 장려한다고 보아 이에 반대한다.[4] 그러나 무역 블록 지지자들은 세계 자유 무역이 지역 자원을 현재와 미래의 소비자들이 수요할 상품과 서비스로 전환할 수 있는 더 많은 기회를 창출하므로 모든 국가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주장한다.[5] 학자들과 경제학자들은 지역 무역 블록이 세계 경제를 분열시키는지 아니면 기존의 세계 다자간 무역 체제의 확장을 촉진하는지에 대해 계속 논쟁을 벌이고 있다.[6][7]
2. 1. 초기 무역 블록
역사적으로 উল্লেখযোগ্য 무역 블록으로는 12세기부터 17세기까지 북유럽의 경제 동맹이었던 한자 동맹과 1871년 독일 연방을 기반으로 형성되어 이후 독일 제국이 된 독일 관세 동맹이 있다. 무역 블록 형성의 급증은 1960년대와 1970년대, 그리고 공산주의 붕괴 이후인 1990년대에 발생했다. 1997년까지 세계 무역의 50% 이상이 지역 무역 블록 내에서 이루어졌다.[2]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의 제프리 J. 쇼트는 이코노미스트에서 성공적인 무역 블록 회원국들은 일반적으로 1인당 GNP 수준의 유사성, 지리적 근접성, 유사하거나 호환 가능한 무역 체제, 그리고 지역 기구에 대한 정치적 의지라는 네 가지 공통된 특성을 공유한다고 지적했다.[3]2. 2. 무역 블록의 확산
역사적으로 উল্লেখযোগ্য 무역 블록으로는 12세기부터 17세기까지 북유럽의 경제 동맹이었던 한자 동맹과 1871년 독일 연방을 기반으로 형성되었고 이후 독일 제국이 된 독일 관세 동맹이 있다. 무역 블록 형성의 급증은 1960년대와 1970년대, 그리고 공산주의 붕괴 이후인 1990년대에 발생했다. 1997년까지 세계 무역의 50% 이상이 지역 무역 블록 내에서 이루어졌다.[2] 이코노미스트이자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 소속인 제프리 J. 쇼트는 성공적인 무역 블록 회원국들이 일반적으로 1인당 GNP 수준의 유사성, 지리적 근접성, 유사하거나 호환 가능한 무역 체제, 그리고 지역 기구에 대한 정치적 의지라는 네 가지 공통된 특성을 공유한다고 지적한다.[3]세계 자유 무역을 지지하는 일부 사람들은 무역 블록에 반대한다. 그들은 무역 블록이 세계 자유 무역을 희생하면서 지역 자유 무역을 장려한다고 본다.[4] 무역 블록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세계 자유 무역이 모든 국가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세계 자유 무역은 지역 자원을 현재 수요가 있고 미래에도 소비자들이 수요할 상품과 서비스로 전환할 수 있는 더 많은 기회를 창출하기 때문이다.[5] 그러나 학자들과 경제학자들은 지역 무역 블록이 세계 경제를 분열시키는지 아니면 기존의 세계 다자간 무역 체제의 확장을 촉진하는지에 대해 계속 논쟁을 벌이고 있다.[6][7]
다음은 활동 중인 지역 무역 블록을 나타내는 표이다.
지역 블록 | 자유무역지대 | 관세동맹 | 단일시장 | 통화연합 | 비자 면제 | 국경 없는 | 정치적 협정 | 방위 협정 | 기타 | |
---|---|---|---|---|---|---|---|---|---|---|
EU | 시행 중 | 시행 중7 | 시행 중2 | 시행 중 1 | 시행 중 | 시행 중 (셰엥겐 1, 7, NPU 및 CTA 1) | 시행 중 | 시행 중 (CFSP/ESDP 1) | ESA 1, 7 | |
EFTA | 시행 중 | 시행 중2, 7 | 시행 중 | 시행 중 1, 7 | 시행 중 1, 7 | ESA 1, 7 | ||||
CARICOM | 시행 중 | 시행 중 | 시행 중 1 | 시행 중 1 및 공통 통화 제안 | 시행 중 1 | 제안 중 | 제안 중 | NWFZ | ||
AU | ECOWAS | 시행 중 1, 3 | 시행 중 1 | 제안 중[9][10] | 시행 중 1 및 2012년 제안 1 및 공통 통화 제안 | 시행 중 1 | 제안 중 | 제안 중 | 시행 중 | NWFZ1 |
ECCAS | 시행 중1 | 아프리카 대륙 자유무역협정 (AfCFTA)1 | 시행 중1 | 제안 중 | 시행 중1 | 시행 중 | 시행 중 | NWFZ1 | ||
EAC | 시행 중 | 시행 중 | 2020년대 제안 | 2024년 제안 | 제안 중 | ? | 2023년 제안 | NWFZ1 | ||
SADC | 시행 중1 | 시행 중1 | 2015년 제안 | 사실상 시행 중 1 및 2016년 공통 통화 제안 | 제안 중[11] | NWFZ1 | ||||
COMESA | 시행 중1 | 2010년 제안 | ? | 2018년 제안 | | | NWFZ1 | ||||
공통 | 시행 중1 | 2019년 제안 | 2023년 제안 | 2028년 제안 | | | 2028년 제안 | NWFZ1 | |||
태평양 동맹 | 시행 중 | 시행 중 | NWFZ | |||||||
USAN | 메르코수르 | 시행 중 | 시행 중 | 2015년 제안[12] | 시행 중 | 2014년 제안[13] | NWFZ | |||
CAN | 시행 중 | 시행 중 1 | 제안 중1[14] | 시행 중 | NWFZ | |||||
공통 | 2014년 제안 4 | 2019년 이후 제안 | 2019년 제안 | 2019년 제안 | 시행 중[15] | 2019년 제안 | 제안 중 | 시행 중 | NWFZ | |
EEU | 시행 중 | 시행 중1 | 시행 중 | 제안 중[16] | 시행 중[17] | 시행 중 1 | ||||
AL | GCC | 시행 중 | 시행 중[18] | 제안 중 | 제안 중 1 | 시행 중 | 시행 중 | |||
공통 | 시행 중1 | 2015년 제안 | 2020년 제안 | 제안 중 | | | 제안 중[19] | ||||
ASEAN | 시행 중 5 | 2015년 제안[20] | 제안 중 8[21] | 시행 중[22] | 2015년 제안[23] | 2020년 제안[24] | NWFZ | |||
CAIS | 시행 중1 | 제안 중 | ? | 시행 중1 | 시행 중1 | 제안 중 | NWFZ | |||
CEFTA | 시행 중 | RCC7 | ||||||||
USMCA | 시행 중 | 시행 중 1, 7 | ||||||||
SAARC | 시행 중 1, 6 | 제안 중 | 제안 중 | 시행 중9 | ||||||
PIF | 2021년 제안1 | NWFZ1 |
1 모든 회원국이 참여하는 것은 아님2 재화, 서비스, 통신, 운송 (2012년부터 철도 완전 자유화), 에너지 (2007년부터 완전 자유화) 포함3 통신, 운송 및 에너지 - 제안 중4 민감 품목은 2019년부터 적용5 최빈개발국 회원국은 2012년부터 참여6 최빈개발국 회원국은 2017년부터 참여7 또한 일부 비회원국도 참여함 (유럽 연합, EFTA는 중복되는 회원국과 유럽 통합과 관련된 다양한 공동 이니셔티브를 가지고 있음).8 또한 일부 비회원국도 참여함 (ASEAN 플러스 쓰리)9 "자격 있는 사람"으로 제한되며 기간은 1년임.
2. 3. 성공적인 무역 블록의 특징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 제프리 J. 쇼트)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의 제프리 J. 쇼트는 성공적인 무역 블록 회원국들이 일반적으로 다음 네 가지 공통된 특성을 공유한다고 지적한다.[3]3. 유형
무역 블록은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 특혜무역지역
- 자유 무역 지역
- 관세 동맹
- 공동 시장
- 경제 연합
- 경제 통화 연합

3. 1. [[자유 무역 지대]]
세계 자유 무역을 지지하는 일부 사람들은 무역 블록이 세계 자유 무역을 희생하면서 지역 자유 무역을 장려한다고 보아 반대한다.[4] 그러나 학자들과 경제학자들은 지역 무역 블록이 세계 경제를 분열시키는지 아니면 기존의 세계 다자간 무역 체제의 확장을 촉진하는지에 대해 계속 논쟁을 벌이고 있다.[6][7]- 자유무역협정 목록
- * 양자 자유무역협정 목록
- * 다자 자유무역협정 목록
3. 2. [[관세 동맹]]
역사적인 무역 블록으로는 12세기부터 17세기까지 북유럽의 경제 동맹이었던 한자 동맹과 1871년 독일 연방을 기반으로 형성되었고 이후 독일 제국이 된 독일 관세 동맹이 있다.[2] 이코노미스트인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의 제프리 J. 쇼트는 성공적인 무역 블록 회원국들은 일반적으로 1인당 GNP 수준의 유사성, 지리적 근접성, 유사하거나 호환 가능한 무역 체제, 그리고 지역 기구에 대한 정치적 의지라는 네 가지 공통된 특성을 공유한다고 지적한다.[3]3. 3. [[공동 시장]]
'''공동시장'''은 경제 연합[8] 또는 통합 시장이라는 목표를 향한 경제 통합의 단계로 여겨진다.단일시장은 대부분의 무역 장벽이 (재화에 대해) 제거되고, 상품 규제에 대한 공통 정책과 생산요소(자본과 노동) 및 기업과 서비스의 이동의 자유가 있는 일종의 무역 블록이다.
3. 4. [[경제 연합]]
경제 연합은 회원국 간의 경제 정책 조정을 통해 경제 통합을 이루는 무역 블록의 한 형태이다. 경제 연합은 공동 시장에 더하여 관세 정책, 통화 정책 등 경제 정책 전반을 조정하여 회원국 간 경제적 장벽을 최소화하고 경제 협력을 강화한다.[2]다음은 경제 연합의 예시이다.
경제 연합 |
---|
CSME |
EU |
경제 연합은 회원국 간의 경제적 이익을 증진하고, 경제통합을 심화하는 데 기여한다.
3. 5. [[경제 통화 연합]]
Economic and monetary union영어 목록은 다음과 같다.
4. 주요 무역 블록
세계에는 여러 무역 블록이 존재하며, 이들은 회원국 간의 무역을 촉진하고 경제 성장을 도모한다. 주요 무역 블록은 다음과 같다.
무역 블록 | 인구 | 국내총생산 (USD) | 회원국 | |||
---|---|---|---|---|---|---|
2006 | 2007 | 성장률 | 1인당 | |||
경제 및 통화 연합 | ||||||
EMU | 324,879,195 | 106859.46억달러 | 122253.04억달러 | 14.41% | 37630USD | 17개국 |
OECS (주권 국가) | 593,905 | 37.52억달러 | 39.98억달러 | 6.54% | 6732USD | 6개국 |
OII | 504,476 | 122.64억달러 | 141.65억달러 | 15.51% | 28081USD | 3개국 |
CCCM | 6,418,417 | 396.16억달러 | 439.67억달러 | 10.98% | 6850USD | 12개국 |
관세 및 통화 연합 | ||||||
CEMAC | 39,278,645 | 512.65억달러 | 585.19억달러 | 14.15% | 1490USD | 6개국 |
UEMOA | 90,299,945 | 503.95억달러 | 584.53억달러 | 15.99% | 647USD | 8개국 |
관세 동맹 | ||||||
CAN | 96,924,486 | 2812.69억달러 | 3341.72억달러 | 18.81% | 3448USD | 4개국 |
EAC | 127,107,838 | 498.82억달러 | 613.45억달러 | 22.98% | 483USD | 5개국 |
EUCU | 574,602,745 | 153318.27억달러 | 176793.76억달러 | 15.31% | 30768USD | 33개국 |
GCC | 36,154,528 | 7244.6억달러 | 8026.41억달러 | 10.79% | 22200USD | 6개국 |
MERCOSUR | 271,304,946 | 15175.1억달러 | 18868.17억달러 | 12.44% | 9757USD | 5개국 |
SACU | 58,000,000 | 14998.11억달러 | 18483.37억달러 | 23.24% | 6885USD | 5개국 |
특혜무역지역 및 자유무역지역 | ||||||
AANZFTA-ASEAN+3 | 2,085,858,841 | 102160.29억달러 | 113239.47억달러 | 10.84% | 5429USD | 15개국 |
ALADI | 499,807,662 | 28231.98억달러 | 32920.88억달러 | 16.61% | 6587USD | 12개국 |
AFTZ | 553,915,405 | 6435.41억달러 | 7399.27억달러 | 14.98% | 1336USD | 26개국 |
APTA | 2,714,464,027 | 48686.14억달러 | 58286.92억달러 | 19.72% | 2147USD | 6개국 |
CARIFORUM-EUCU-OCTs | 592,083,950 | 154377.71억달러 | 177982.83억달러 | 15.29% | 30060USD | 67개국 |
CACM | 37,388,063 | 872.09억달러 | 977.18억달러 | 12.05% | 2614USD | 5개국 |
CEFTA | 27,968,711 | 1102.63억달러 | 1354.04억달러 | 22.80% | 4841USD | 8개국 |
CISFTA | 272,897,834 | 12719.09억달러 | 16614.29억달러 | 30.62% | 6088USD | 11개국 |
DR-CAFTA-US | 356,964,477 | 133454.69억달러 | 140086.86억달러 | 4.97% | 39244USD | 7개국 |
ECOWAS | 283,096,250 | 2159.99억달러 | 2557.84억달러 | 18.42% | 904USD | 15개국 |
EEA (EU + EFTA) | 499,620,521 | 149240.76억달러 | 171868.76억달러 | 15.16% | 34400USD | 30개국 |
EFTA-SACU | 68,199,991 | 10215.09억달러 | 11393.85억달러 | 11.54% | 16707USD | 9개국 |
EAEC | 207,033,990 | 11256.34억달러 | 14652.56억달러 | 30.17% | 7077USD | 6개국 |
USMCA | 449,227,672 | 153370.94억달러 | 161890.97억달러 | 5.56% | 36038USD | 3개국 |
TPP | 25,639,622 | 4018.1억달러 | 4681.01억달러 | 16.50% | 18257USD | 11개국 |
SAARC | 1,567,187,373 | 11626.84억달러 | 14283.92억달러 | 22.85% | 911USD | 8개국 |
SPARTECA | 35,079,659 | 9185.57억달러 | 11027.45억달러 | 20.05% | 31435USD | 21개국 |
태평양 동맹 | 218,649,115 | 13711.97억달러 | 15258.25억달러 | 11.28% | 6978USD | 4개국 |
각 무역 블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유럽 연합 (EU): 유럽을 중심으로 한 경제 및 통화 연합이다.
- 유라시아 경제 연합 (EEU):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러시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이 참여하는 경제 블록이다.
-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ASEAN): 아세안 자유무역 지역(AFTA)을 운영하며, 아세안+3에는 중국(홍콩, 마카오 포함), 일본, 대한민국이 추가로 참여한다.
- 중앙아메리카 통합 시스템 (CAIS): 중앙아메리카 국가들의 경제 통합 기구이다.
- 중부유럽 자유무역협정 (CEFTA): 알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코소보, 북마케도니아, 몰도바, 몬테네그로, 세르비아가 참여한다.
-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USMCA):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을 대체하는 새로운 무역 협정이다.
- 남아시아 지역 협력 연합 (SAARC): 남아시아 지역의 무역 블록이다.
- 태평양 제도 포럼 (PIF): 남태평양 지역 무역 경제 협력 협정(SPARTECA)을 통해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가 회원국 상품을 면세 및 양허 조건으로 수입한다.
- 카리브 공동체 (CARICOM): 회원국들은 공동 시장으로 통합되어 있으며, 일부는 단일 시장 경제로 더 긴밀하게 통합되어 있다.
4. 1. [[유럽 연합 (EU)]]
European Union영어 (EU)는 유럽의 정치, 경제 통합체이다.유럽 연합은 공동시장, 경제동맹, 경제통화연합, 통화동맹의 단계를 거쳐 발전해왔다.[1]
무역권 | 인구 | GDP (미국 달러) | 참가국 | |||
---|---|---|---|---|---|---|
2006 | 2007 | 성장률 | 1인당 GDP | |||
유럽 연합의 경제통화통합 | 324,879,195 | 10685946928310USD | 12225304229686USD | 14.41% | 37630USD | , , , , , , , , , , , , , , , , |
유럽경제지역(EEA) | 499,620,521 | 14924076504592USD | 17186876431709USD | 15.16% | 34400USD | 27 EU 회원국, , , |
유럽연합 관세동맹(EUCU) | 574,602,745 | 15331827900202USD | 17679376474719USD | 15.31% | 30768USD | 30 EEA 회원국, , , |
2007년 유럽 연합의 경제 통화 통합에 참여한 국가들의 GDP는 12225304229686USD이며, 성장률은 14.41%, 1인당 GDP는 37630USD였다.[1] 유럽 경제 지역(EEA)의 경우, 2007년 GDP는 17186876431709USD였고, 성장률은 15.16%, 1인당 GDP는 34400USD였다.[1] 유럽 연합 관세 동맹은 2007년 GDP 17679376474719USD, 성장률 15.31%, 1인당 GDP 30768USD를 기록했다.[1]
4. 2. [[유럽 자유 무역 연합 (EFTA)]]
유럽 자유 무역 연합(EFTA)과 남부 아프리카 관세 동맹(SACU) 간의 FTA 체결로, 2006년 1021509931918USD에서 2007년 1139385636888USD로 11.54% 성장했으며, 1인당 GDP는 16707USD를 기록했다.무역권 | 인구 | 2006년 GDP (USD) | 2007년 GDP (USD) | 성장률 | 1인당 GDP (USD) | 참가국 |
---|---|---|---|---|---|---|
유럽 자유 무역 연합(EFTA)-남부 아프리카 관세 동맹(SACU) | 68,199,991 | 1021509931918USD | 1139385636888USD | 11.54% | 16707USD | 4개 EFTA 회원국, 5개 SACU 회원국 |
4. 3. [[아프리카 연합 (AU)]]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아프리카 연합 (AU)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다.4. 4. [[남미 국가 연합 (USAN)]]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남미 국가 연합(USAN)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4. 5. [[유라시아 경제 연합 (EEU)]]
유라시아 경제 연합(EAEC)은 2006년 기준 인구 2억 703만 3,990명, GDP 11256.34억달러, 2007년 GDP 14652.56억달러 (30.17% 성장), 1인당 GDP 7077USD를 기록한 경제 블록이다. 회원국은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러시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6개국이다.4. 6. [[아랍 연맹 (AL)]]
주어진 자료에는 아랍 연맹 (AL)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이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다.4. 7.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ASEAN)]]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은 아세안 자유무역 지역(AFTA)을 운영하고 있으며, 아세안+3에는 아세안 자유무역 지역(AFTA)과 더불어 중국(홍콩, 마카오 포함), 일본, 대한민국이 포함된다.[1]2007년 기준으로 아세안 자유무역 지역(AANFTA)-아세안+3의 인구, GDP, 1인당 GDP는 다음과 같다.[1]
무역권 | 인구 | GDP (미국 달러) | 1인당 GDP | 참가국 |
---|---|---|---|---|
아세안 자유무역 지역(AANFTA)-아세안+3 | 2,085,858,841명 | 11.323조달러 | 5429USD | 10개 아세안 회원국, 오스트레일리아, 중국 (홍콩, 마카오 포함), 일본, 뉴질랜드, 대한민국 |
4. 8. [[중앙아메리카 통합 시스템 (CAIS)]]
중앙아메리카 통합 시스템(SICA)은 1991년에 설립된 중앙아메리카 국가들의 경제 통합 기구이다. 2007년 기준으로 인구는 37,388,063명이며, GDP는 977.18억달러이다. 1인당 GDP는 2614USD이다.
4. 9. [[중부유럽 자유무역협정 (CEFTA)]]
중부유럽 자유무역협정(CEFTA)은 다자간 자유무역협정 중 하나이다. 2007년 기준으로, 알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코소보, 북마케도니아, 몰도바,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8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무역권 | 인구 | GDP (미국 달러) | 참가국 | |||
---|---|---|---|---|---|---|
2006 | 2007 | 성장률 | 1인당 GDP | |||
중유럽 자유무역 협정(CEFTA) | 27,968,711 | 110,263,802,023 | 135,404,501,031 | 22.80% | 4,841 |
4. 10.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USMCA)]]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nited States-Mexico-Canada Agreement, USMCA)은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을 대체하는 새로운 무역 협정이다.2007년 기준으로 USMCA의 전신인 NAFTA는 449,227,672명의 인구와 16.189조달러의 GDP를 가진 거대 무역 블록이었다. 1인당 GDP는 36038USD였다.[1]
무역권 | 인구 | 2006년 GDP (미국 달러) | 2007년 GDP (미국 달러) | 성장률 | 1인당 GDP | 참가국 |
---|---|---|---|---|---|---|
북미 자유무역협정(NAFTA) | 449,227,672 | 15.337조달러 | 16.189조달러 | 5.56% | 36038USD | 캐나다, 멕시코, 미국 |
4. 11. [[남아시아 지역 협력 연합 (SAARC)]]
남아시아 지역 협력 연합(SAARC)은 1,567,187,373명의 인구를 가진 남아시아 지역의 무역 블록이다. 2007년 GDP는 14283.92억달러로, 2006년의 11626.84억달러에 비해 22.85% 성장했다. 1인당 GDP는 911USD이다.무역권 | 인구 | 2006년 GDP (USD) | 2007년 GDP (USD) | 성장률 | 1인당 GDP (USD) | 참가국 | |||||||
---|---|---|---|---|---|---|---|---|---|---|---|---|---|
남아시아 지역 협력 연합(SAARC) | 1,567,187,373 | 11626.84억달러 | 14283.92억달러 | 22.85% | 911USD | 아프가니스탄 | 방글라데시 | 부탄 | 인도 | 몰디브 | 네팔 | 파키스탄 | 스리랑카 |
4. 12. [[태평양 제도 포럼 (PIF)]]
남태평양 지역 무역 경제 협력 협정(SPARTECA)은 비상호적 무역 협정으로,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가 태평양 제도 포럼(PIF) 회원국들의 상품을 면세 및 양허 조건으로 수입하도록 허용한다.4. 13. [[카리브 공동체 (CARICOM)]]
CARICOM영어 회원국들의 경제는 공동 시장으로 통합되어 있으며, 일부 회원국은 단일 시장 경제로 더 긴밀하게 통합되어 있다. 2006년 GDP은 39616485623USD였고 2007년에는 43967600765USD로 10.98% 성장했다. 2007년 1인당 GDP는 6850USD였다.
참조
[1]
서적
Mansfield and Milner 2005
[2]
서적
Milner 2002
[3]
서적
Schott 1991
[4]
서적
O'Loughlin and Anselin 1996
[5]
학술지
Trade Blocs and Multilateral Free Trade
http://www.econ.ucla[...]
[6]
서적
Milner 2002
[7]
서적
Mansfield and Milner 2005
[8]
웹사이트
Stages of Economic Integration: From Autarky to Economic Union
http://publications.[...]
[9]
웹사이트
WT/COMTD/N/11
http://docsonline.wt[...]
[10]
웹사이트
WT/COMTD/N/21
http://docsonline.wt[...]
[11]
뉴스
Prensa Latina
http://www.plenglish[...]
Prensa Latina
2007-02-03
[12]
웹사이트
WT/REG238/M/1
http://docsonline.wt[...]
[13]
뉴스
Definidos critérios para o Parlamento do Mercosul
http://www.senado.go[...]
Senado Federal – Notícias
2007-02-03
[14]
웹사이트
Act of Lima
http://www.comunidad[...]
[15]
뉴스
http://www.cnn.com/2[...]
CNN
2007-02-03
[16]
뉴스
Russia, Kazakhstan, Belarus form Eurasian Economic Union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2014-05-29
[17]
웹사이트
Archived
http://www.itar-tass[...]
[18]
뉴스
GCC customs union fully operational
http://thepeninsulaq[...]
The Peninsula
2016-08-13
[19]
뉴스
Yemen Proposes Replacing Arab League With Arab Union
http://www.arabnews.[...]
Agence France-Presse
2004-02-11
[20]
뉴스
Asean Trade Mins Meet To Speed Up Plans For Single Market
http://www.biznewsdb[...]
Malaysia Dual Lingual Business News
2007-02-03
[21]
뉴스
Envisioning a single Asian currency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7-02-03
[22]
뉴스
ASEAN To Sign Accord On Visa-Free Travel
http://www.allheadli[...]
AHN – All Headline News
2007-02-03
[23]
보도자료
ASEAN Leaders Sign Five Agreements at the 12th ASEAN Summit, Cebu, the Philippines, 13 January 2007
http://www.asean.org[...]
ASEAN Secretariat
2007-01-13
[24]
뉴스
ASEAN defense ministers aim for security community
http://www.abs-cbnne[...]
ABS-CBN
2007-02-03
[25]
서적
Schott 1991
[26]
웹사이트
WT/COMTD/N/11
http://docsonline.wt[...]
[27]
웹사이트
WT/COMTD/N/21
http://docsonline.wt[...]
[28]
뉴스
Prensa Latina
http://www.plenglish[...]
Prensa Latina
2007-02-03
[29]
웹사이트
WT/REG238/M/1
http://docsonline.wt[...]
[30]
뉴스
Definidos critérios para o Parlamento do Mercosul
http://www.senado.go[...]
Senado Federal - Notícias
2007-02-03
[31]
웹사이트
Act of Lima
http://www.comunidad[...]
[32]
뉴스
South American countries reach visa deal
http://www.cnn.com/2[...]
CNN
2006-11-24
[33]
웹사이트
GCC countries postpone customs union Nazarbayev proposed to create the SCO's reserve currency
http://bilaterals.or[...]
[34]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35]
웹사이트
GCC countries postpone customs union move
http://bilaterals.or[...]
[36]
뉴스
Yemen Proposes Replacing Arab League With Arab Union
http://www.arabnews.[...]
Agence France-Presse
2004-02-11
[37]
뉴스
Asean Trade Mins Meet To Speed Up Plans For Single Market
http://www.biznewsdb[...]
Malaysia Dual Lingual Business News
2007-02-03
[38]
뉴스
Envisioning a single Asian currency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7-02-03
[39]
뉴스
ASEAN To Sign Accord On Visa-Free Travel
http://www.allheadli[...]
AHN - All Headline News
2007-02-03
[40]
보도자료
ASEAN Leaders Sign Five Agreements at the 12th ASEAN Summit, Cebu, the Philippines, 13 January 2007
http://www.asean.org[...]
ASEAN Secretariat
2007-01-13
[41]
뉴스
ASEAN defense ministers aim for security community
http://www.abs-cbnne[...]
ABS-CBN
2007-0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